디지털화성시문화대전 > 화성시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전통 시대 인물 > 문인·학자·효자
-
경기도 화성 출신으로 고려 전기 한림학사를 지낸 최루백의 아내. 염경애의 본관은 봉성(峯城). 아버지는 검교상서 우복야 대부소경(檢校尙書右僕射大府少卿) 염덕방(廉德方)이고, 어머니는 추밀원우승선 급사중(樞密院右承宣給事中) 심후(沈侯)의 딸인 의령군 대부인(宜寧郡大夫人) 심지의(沈志義)이다. 남자 형제는 순주(順州)의 수령을 지낸 염순로(廉純老), 태학생(大學生)인 염행약(廉行若),...
문인·학자
-
조선 후기 경기도 화성 출신의 학자.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대유(大猷), 호는 취석실(醉石室). 부친은 우정서(禹鼎瑞)이며, 백부 우정태(禹鼎台)에게 입양되었다....
-
조선 후기 경기도 화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신백(信伯), 호는 신곡(薪谷),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증조는 지중추부사 윤우신(尹又新), 조부는 교리 윤섬(尹暹), 부친은 현감 윤형갑(尹衡甲)이다. 모친은 창원 황씨(昌原黃氏)로, 관찰사 황치경(黃致敬)의 딸이다. 동생이 삼학사(三學士)의 윤집(尹集)이다....
-
조선 후기 경기도 화성 출신의 문인. 본관은 미상이나, 전주(全州)라고도 전한다. 자는 기상(其相), 호는 경금자(絅錦子)·문무자(文無子)·화석자(花石子)·매화외사(梅花外史)·매암(梅庵)·매계자(梅계子)·청화외사(靑華外史)·도화유수관주인(桃花流水館主人)·화서외사(花漵外史)·석호주인(石湖主人)·문양산인(汶陽散人) 등 다양하였다. 부친은 진사 이상오(李常五)로, 효령대군의 후손이라고도...
-
경기도 화성 출신의 조선 전기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여경(餘慶), 호는 소총(篠䕺)·광진자(狂眞子)이다. 아버지는 남양부(南陽府)의 향리(鄕吏) 홍순치(洪順致)이다....
효자
-
경기도 화성 출신의 조선 전기 효자. 김계동(金桂同)[?~?]은 별장(別將)을 지냈다. 성품이 효성스럽고 공손하여 부모님께 아침저녁으로 문안을 열심히 드렸다. 김계동은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사당을 설치하여 초하루와 보름에 꾸준히 제사를 지냈다. 이에 나라에서 정려를 내렸다....
-
조선 후기 경기도 화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추계(秋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태동(朴泰東), 할아버지는 박수채(朴受采)이며, 아버지는 박세형(朴世亨)의 맏아들이다. 자식으로 박효준(朴孝駿)·박효기(朴孝驥)·박효상(朴孝相) 삼형제를 두었다....
-
조선 전기 경기도 화성 출신의 효자. 최세호(崔世湖)[?~?]는 조선 전기 화성 출신의 효자이다. 어머니가 풍질(風疾)로 항상 고생하여서 위급하면 거의 죽었다가 살아나기도 하여 최세호가 약이 될만한 것을 묻고 다녔다고 한다. 어느날 최세호가 자신의 다리살을 베어 약에 타서 드리니 어머니의 병세에 차도가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효행이 알려져 나라에서 정문을 세워주었다....
-
조선 전기 경기도 화성 출신의 효자. 한몽송(韓夢松)은 아버지를 따라 물고기잡이를 갔다가 아버지가 물에 빠져 죽자, 아들인 한몽송이 위험을 무릅쓰고 아버지의 시신을 끌어안고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