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화성시문화대전 > 화성시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전승·언어·문학) > 구비전승 > 민요
-
경기도 화성시의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여 향유되어 온 노래. 경기도 화성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서해에, 동쪽으로는 용인시와 접해 있다. 임야가 적고 비옥한 평야가 넓어 전형적인 농업지역으로 발달해왔기 때문에 민요 역시 농업 노동요가 가장 많이 발견된다. 바닷가에 접한 곳에서는 어로요도 전해지고 있으며, 다른 의식요나 유희요들도 다양하게 분포하지만...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서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 「긴방아」는 「둘레」, 「면생이」 등과 함께 손으로 직접 논을 훔치며 잡초를 제거하며 김매기를 할 때 부르던 민요이다. 보통 「면생이」를 부른 뒤 사이를 두지 않고 연이어 부른다....
-
경기도 화성시 우정면에서 논에 김을 맬 때 부르던 노래. 경기도 화성시에서 논에 김을 맬 때에는 작업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노래를 부르는데, 「김매는 노래」는 호미로 작업을 할 때 부르던 노동요이다....
-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과 옛 태안읍 등지에서 다리세기 놀이를 할 때 부르던 유희요. 전통 놀이인 다리세기 놀이를 할 때, 다리의 수를 헤아리면서 부르는 것으로, 놀이를 진행하는 데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노래이다....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의 장례 의식에서 봉분을 다지며 부르던 노래. 「달구 노래」는 장례 의식 중 봉분을 만들고 다지는 과정에서 불리는 노래이다. 노래의 명칭은 흙을 다질 때 사용되는 기구인 달구에서 비롯되었다....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던 노동요.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서 손으로 논을 훔치며 잡초를 제거하는 세벌매기를 할 때 부르는 일련의 노래들 중 가장 먼저 부르던 노래이다. 「둘레」라는 명칭은 손으로 논을 두른다[고른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이다....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던 노동요.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서는 논에서 손으로 논을 훔치며 물위에 뜬 잡초를 제거하는 일을 '면생이'라고 하는데 작업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부르는 노래들도 여럿이다. 「면생이」는 이때 부르는 여러 노래의 하나이다....
-
경기도 화성시 우정면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모심기 노래」는 못자리에서 생육된 모를 논에 옮겨 심을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새로 심는 모가 풍성한 결실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
경기도 화성시 우정면에서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노래. 장례를 치를 때 상여꾼들이 상여를 운반하며 「상여소리」를 부른다. 장례 의식에 불리는 노래로서 의식요에 속하지만, 상여를 운반하는 노동과 관련되기 때문에 노동요의 성격도 있다....
-
경기도 화성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 무가. 경기도 지역의 무당들이 굿을 할 때 구연하는 서사무가를 시루말이라 한다. 서사무가는 보통 무당들이 모시는 바리공주나 당금애기 등 신의 내력이나 인간의 사후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
경기도 화성시 우정면에서 불리던 유희요. 대표적인 경기민요인 「창부타령」과 마찬가지로 인생의 허무함을 노래하는 작품이나 탁발승이 된 한 여인의 내력을 소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경기도 화성시 우정면에서 불리던 유희요. 「인생 백년은 꿈」은 대표적인 경기민요 「창부타령」의 일종으로 보이는 노래이다. 주로 여성들이 놀이나 노동을 위해 모인 자리에서 흥을 돋우기 위해 불린 것으로 보인다....
-
경기도 화성시 옛 태안읍 지역에서 아이를 재울 때 부르던 노래. 「자장가」는 아이를 재우기 위한 목적이 분명한 동요로 전국적으로 다양한 노래가 전승되고 있다. 아이가 잘 자고 있다는 내용을 반복하고, 아이의 잠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을 경계하며, 아이의 미래에 대한 기대를 담기도 한다....
-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양노리에서 채록한 무속인 조순웅의 무가. 경기도 화성시에서 활동하던 무속인 조순웅의 무가들로 「성주」, 「창부」, 「서낭」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작품들이 채록되어 있다. 마을 공동의 의식이나 개인적 행사에서 각각의 목적에 맞게 불리던 의식요들이다....
-
경기도 화성시에서 집터를 다질 때 부르던 노래. 「지경다지는 노래」는 집터를 평평하게 하면서 흙으로 메운 곳에 큰 돌을 반복적으로 떨어뜨려 터를 단단하게 하는 작업을 할 때 노동의 효율을 위해 부르는 노래이다....
-
경기도 화성시 우정면에서 전해지는 장례 의식요. 「회다지소리」는 장례 의식에서 봉분을 다질 때 부르는 노래로 흙을 단단하게 하기 위해 회를 섞는 데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