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화성시문화대전 > 화성시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근현대 인물 > 예술인·교육자·과학자
-
경기도 화성시 출신으로 예술 작품을 창작하거나 표현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예술인(體育人)은 시각·공연 예술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화성지역에는 한국예총화성지회가 경기도 화성시 노작로 동탄문화센터 2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하에 문인협회, 미술협회, 국악협회, 음악협회, 무용협회, 사진협회, 연극협회, 연예예술인협회를 두고 있다....
-
경기도 화성시 출신으로 체육 분야에 종사하는 자. 체육인은 체육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올림픽·아시안게임·전국체육대회 등 각종 체육 대회 및 각종 리그에 출전해 각기 맡은 종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출신의 대한민국 제1호 유치과학자. 김재관(金在官)[1933~2017]은 1933년 경기도 화성군 남양읍에서 태어났다. 1956년 서울대학교 공과 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정부초청장학생[DAAD]에 지원하여 서독 뮌헨대학교 기계공학과에 유학하였다. 1958년 석사를 졸업하였고, 1961년 박사를 졸업하였다. 독일 DEMAG사에서 근무하다가, 1964년 박정희 대통...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운평리 출신의 교육자이자 향토사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한백응(韓百膺)과 차수정(車洙貞) 사이에서 칠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문학가
-
경기도 화성시 발안면 출신의 문학가이자 대학교수. 마광수(馬光洙)[1951~2017]는 1951년 4월 14일, 6·25전쟁 중 1·4 후퇴로 서울에서 피난가던 중 경기도 화성시 발안면에서 태어났다. 유년기에 군속 사진사였던 아버지를 따라 강원도 화천·인제·양구 등지를 오가며 살았다. 마광수가 초등학교 1학년 때 아버지가 안전 사고로 사망하였고, 1학년 말에 가족과 함께 서울로 이...
-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 행정리에 거주하며 『우리동네』 연작을 집필한 소설가. 이문구는 산업화 과정 속에서 소외된 농·어촌, 도시 외곽의 사람들 삶에 관심을 두고, 산업화에 소외된 이들의 삶을 그들의 언어와 삶의 양식으로 생생하게 묘사한 소설가이다. 1977년부터 1980년까지 경기도 화성 지역에 거주하였다....
-
경기도 화성시 석우동에 묘소가 있는 일제 강점기 문학가. 본관은 남양(南陽). 아버지는 대한제국 통정대부 육군헌병 부위를 지닌 홍철유(洪哲裕)이며, 어머니는 능성구씨(綾城具氏)이다. 백부 홍승유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예술인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출신의 배우. 여운계(呂運計)[1940~2009]는 1940년 2월 25일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에서 출생하였다. 무학여자고등학교 재학 당시 방송반과 합창반에서 활동하였다. 1958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과에 진학하여 대학극회 단원으로 연기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낙훈·이순재·오현경 등과 함께 ‘대학극 1세대’로 불렸다....
-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 송곡리 출신의 예술인. 전문적인 세습 재인(才人) 출신. 부친 이재학(李在學)과 조부 이하실(李夏實)이 경기도 화성 지역에서 가(歌)·무(舞)·악(樂)을 담당하는 화성 재인청의 도대방(都大房)이었다. 모친은 해주 오씨(海州吳氏)이다....
-
경기도 화성 출신의 무용가이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정재만(鄭在晩)[1948~2014]은 1948년 3월 4일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났다. 1965년 송범무용연구소를 운영하던 송범의 문하로 들어가, 클레식 발레·모던 발레·민속무용[스페인 및 남방 무용]·한국전통무용 등을 배웠다. 1968년 서라벌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무용학과에 입학하여 김백봉에게 사사받았다. 1971년...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활초리 출신의 서양음악가. 본관은 남양(南陽). 아버지는 대한제국 말기 주사(主事)를 지낸 홍준(洪埻)이고,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