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601263 |
---|---|
이칭/별칭 | 부적 붙이기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경기도 화성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류영희 |
경기도 화성 지역의 가정에서 정월이나 명절에 부적을 집안 곳곳에 붙이며 나쁜 액을 막고 안녕을 기원하는 풍속.
부적은 일반적으로 종교 이전부터 존재한 신통력 있는 주술적인 물건으로 인식되는데 나쁜 귀신을 쫓고 액운을 예방하는 그림이나 글씨를 말한다. 집에 붙이는 부적으로는 동짓날에 대문이나 부엌문에 붙이는 동지부적 혹은 문신부적, 2월 초하루에 온 집안을 깨끗이 청소하고 노래기가 꾀기 쉬운 곳의 서까래나 기둥, 벽에 노래기를 퇴치하는 내용의 글을 종이에 써서 거꾸로 붙이는 노래기부적, 단옷날 방문이나 부엌 벽에 붙이는 단오부적, 집안에 삼재가 든 사람이 있으면 문설주 등에 붙이는 삼재부적 등이 있다. 이 중에 삼재부적은 그림 형태도 많은데 주로 삼두매나 닭, 호랑이 등을 그린 부적이다. 화성 지역에서는 ‘왕(王)’자를 쓴 부적을 붙이거나 터줏가리에 부적을 넣는 풍속이 있다.
경기도 화성 지역에서는 정월이나 명절에 액을 막기 위해 집안에 부적을 붙이기도 하는데 무당이나 절에서 받은 것 외에도 개인들이 쓴 글씨나 그림을 붙이기도 한다. 2005년 조사에 의하면, 화성시 동탄면 장지리 박운병씨 댁에서는 어느 절에서 온 사람이 임금 ‘왕(王)’ 자를 집안 다니는 곳에 써 놓으면 재수가 좋고 자손만대 번성하고 병도 나지 않는다고 하여 집안 곳곳에 ‘王’자를 써 붙여 놓았다고 한다. 2006년 조사에 의하면, 장안면 석포5리 권태경씨 댁에서는 터줏가리를 모실 때 안에 부적을 넣어 두기도 했다. 2006년 이후 조사된 바가 없어 현재 전승 상황을 알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