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601031 |
---|---|
한자 | 盤石初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Banseok Elementary School |
이칭/별칭 | 반석초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경기도 화성시 동탄반석로 22[반송동 22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지혜 |
인가 시기/일시 | 2006년 8월 19일 - 반석초등학교 설립 인가 |
---|---|
개교 시기/일시 | 2007년 9월 1일![]() |
최초 설립지 | 반석초등학교 - 경기도 화성시 동탄반석로 22[반송동 223] |
현 소재지 | 반석초등학교 -
경기도 화성시 동탄반석로 22[반송동 223]![]() |
성격 | 공립초등학교 |
전화 | 031-613-2689|031-613-2688 |
홈페이지 | http://www.hsbanseok.es.kr |
경기도 화성시 반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목표는 주도적 배움으로 생각을 키우는 어린이,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성장하는 어린이, 문화적 감수성으로 꿈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2006년 8월 19일 설립 인가를 받아 다음해 9월 1일 반석초등학교[6학급]로 개교하였다. 같은 해 10월 11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6년 3월 1일 초등학교 39학급, 유치원 3학급, 특수학급 1학급으로 편성되었다. 2020년 3월 1일 경기도 교육청 지정 혁신학교로 운영되었다.
2021년 1월 5일 제 14회 졸업식을 통해 220명이 졸업하여 총 3,10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반석초등학교는 앎과 삶이 하나되어 더불어 성장하는 학생이 되도록 삶의 바탕이 되는 힘을 길러주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R.E.A.D 독서토론 교육[읽고[Read], 즐기고[Enjoy], 모두 함께 토의·토론[All Debate]]이다. 이를 위해 온책읽기를 시행하여 독서습관을 정착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다양한 독후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책 읽는 즐거움을 위해 작가와의 만남, 문화연극 관람·교육연극 등도 시행하고 있다. 학년별 체계적인 독서 토의·토론 교육 정착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 및 논리적 사고를 키우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다음으로 학생들의 예술적 감성을 기르기 위해 1인 1악기제[1~2학년 오카리나, 3~4학년 하모니카, 5학년 단소, 6학년 소금]를 추진하고 있으며 반석예술 동아리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자연을 사랑하고 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연계한 숲 체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텃밭 체험을 통해 노동의 가치와 수확의 기쁨을 알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자신의 특기· 적성을 이해하고 진로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진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화성시 사회 각 분야의 직업인을 초청해 직업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직업인 초청 행사도 개최하고 있다. 그 외에 미래인재육성을 위한 SW·AI교육도 활발히 전개해 나가고 있다.
1. 교가[작사 이홍근/작곡 김동식]
반석산 정기품은 배움의 터전/참되고 슬기롭게 자라는 우리/푸른 꿈을 키우며 미래를 열어/세계 속의 으뜸되리 희망의 반석
2.교화는 영산홍이다. 영산홍은 한그루도 아름답지만 함께 할 때 더욱 아름다운 꽃이다. 반석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이러한 영산홍을 닮아 서로 협동하며 도와주기를 바라는 뜻을 담고 있다.
3.교목은 느티나무이다. 시원한 그늘로 쉼터를 제공하는 느티나무처럼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넓은 마음을 갖자는 뜻을 담고 있다.
2021년 기준 총 41학급에 1,139명[남 567, 여 572]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6학급에 153명[남 70명, 여 83명], 2학년은 6학급에 172명[남 89, 여 83], 3학년은 7학급에 202명[남 112, 여 90], 4학년은 7학급에 183명[남 88, 여 95], 5학년은 8학급에 233명[남 101, 여 132], 6학년은 7학급에 196명[남 107, 여 89]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부장교사 12명, 교사 37명, 특수교사 1명, 그 외 행정 및 일반직 등 총 78명이 근무하고 있다. 컴퓨터실, 자료실, 도서길, 과학실, 어학실, 강당, 시청각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