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600566 |
---|---|
한자 | 朴世熹 |
이칭/별칭 | 이회(而晦),도원재(道源齋),문강(文剛)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윤성재 |
출생 시기/일시 | 1491년![]() |
---|---|
활동 시기/일시 | 1514년 - 박세희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15년 - 박세희 사가독서를 함 |
활동 시기/일시 | 1515년 - 박세희 홍문관 수찬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517년 - 박세희 정언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519년 - 박세희 사간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519년 - 박세희 기묘사화로 유배 |
몰년 시기/일시 | 1530년![]() |
사당|배향지 | 안곡서원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제부로 860-36
![]()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상주(尙州) |
대표 관직 | 이조좌랑|충청도 도사|장령| 홍문관 응교|사간|좌부승지 |
경기도 화성시 안곡서원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이회(而晦), 호는 도원재(道源齋). 증조부는 박안의(朴安義)이고, 할아버지는 박미창(朴美昌), 아버지는 군자감부정(軍資監副正) 박사화(朴士華)이며, 어머니는 신복담(辛福聃)의 딸이다.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에 급제한 박세훈(朴世薰)의 동생이다.
박세희(朴世熹)[1491~1530]는 1491년(성종 22)에 태어났다. 1510년(중종 9) 20세에 진사가 되었고, 1514년(중종 9)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515년(중종 10)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한 뒤, 홍문관 수찬을 지내었다. 1517년(중종 12) 정언·이조좌랑·충청도 도사·장령·홍문관 응교를 역임하고, 1519년(중종 14) 사간이 되었다.
박세희는 인재 선발을 비롯하여 국왕의 치도(治道) 등 당시 사림이 구상하고 있던 성리학적 이상 정치의 구현에 주력하였다. 1516년 2월 경연에 참석하여 친영(親迎)과 향음주례(鄕飮酒禮)의 시행을 요청하였다. 이 밖에도 충청도 도사 재직 때, 공주와 부여의 경계인 석탄(石灘)에 고려 시대 문신 이존오(李存吾)의 별장이 있음을 언급하면서 옛 터에 비석을 세워 추모하는 한편, 후손 등용을 주장하여 사림의 기상을 진작시키고자 하였다.
1519년(중종 14) 좌부승지로 재직 중 기묘사화(己卯士禍)가 발생하자, 조광조(趙光祖)와 붕당을 결성하였다는 죄목으로 유배되었다. 처음에는 상주(尙州)로 유배되었으나, 다시 강계(江界)에 이배되어 십여 년간 생활하다 사망하였다. 조광조와 가깝게 지내고, 김식(金湜)·김정(金淨)·김구(金絿) 등 기묘명현(己卯名賢)들과 교유하였다.
유배지인 강계에서 사망하였으므로 형인 박세훈 묘소 옆에 반장(反葬)하였다. 상주 박씨 묘역은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의 안곡서원(安谷書院) 옆에 조성되어 있다.
1538년(중종 33) 4월 직첩(職牒)이 환급되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강(文剛)이다. 1666년(현종 7) 남양현감으로 부임한 민시중(閔蓍重)이 기묘명현인 박세희를 숭모하여 안곡서원(安谷書院)을 세워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