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600458 |
---|---|
한자 | 雙井里- |
영어공식명칭 | Ssangjeong-ri Menhir |
이칭/별칭 | 미륵바위,망부석,돌미륵,쌍정리 입석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민간 신앙 유적 |
지역 |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쌍정리 557-1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서길덕 |
현 소재지 | 쌍정리 선돌 -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쌍정리 557-1
![]() |
---|---|
성격 | 선돌 |
크기(높이,둘레) | 152㎝[높이]|60㎝[폭]|30㎝[두께]|170㎝[최대 둘레] |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쌍정리 선돌은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쌍정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이다. 선돌과 관련하여 몇 가지 전설이 전해진다. 먼저, 옛날 아들을 못 낳은 아낙네가 미륵당을 짓고 현재 돌미륵이 있는 곳에 기도하여 아들을 낳았다는 전설이 있다. 또 다른 전설은 다음과 같다. 힘이 장사인 두 형제가 있었는데, 집을 나간 형이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자 형이 죽은 것으로 생각한 동생이 큰 돌을 뽑아서 병풍 뒤에 세워 두고 제를 지냈다. 동생이 세워 둔 돌을 초록동이라는 사람이 주무르자 사람의 얼굴이 새겨졌다고 한다. 사람 얼굴이 새겨진 돌을 동생이 지금의 장소로 다시 옮겼다고 한다.
쌍정리 선돌은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쌍정리 233번지 밭에서 서쪽 250m 지점에 있다.
쌍정리 선돌은 앞면에 얼굴상이 뚜렷하게 새겨져 있다. 얼굴은 큰 눈이 불툭하고 코가 넓으며 인중과 입술 사이를 깊게 새긴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 땅에서 얼굴상까지는 약 60㎝ 폭으로 일정하다가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이다. 특히 윗부분은 일부러 다듬은 흔적이 관찰된다. 2021년 현재 앞쪽으로 15° 정도 기울어져 있다. 기울어진 상태의 높이는 150㎝ 정도이며, 바로 세웠을 때의 높이는 160㎝ 정도로 추정된다. 재질은 화강암이다.
쌍정리 선돌과 관련하여 2021년 현재 마을에서 공동으로 제사를 지내거나 하는 것은 없다. 별도의 개인적인 치성도 거의 없다고 한다.
쌍정리 선돌과 관련하여, 돌미륵 얼굴이 향하는 쪽 마을의 여자들이 바람이 난다는 풍문이 주변 마을에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의 젊은 남자들이 서로 자기 마을을 바라보지 않도록 선돌의 방향을 약간씩 틀어 놓기도 하였다고 한다. 2006년 발간된 『화성의 민속』[화성시, 2006]에서는 선돌의 얼굴 방향이 정북향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2021년 현재는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또, 2007년에 발간된 『경기도 고인돌』[경기도박물관, 2007]에 의하면 선돌이 바로 서 있었으나, 2021년 현재는 앞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이다. 2021년 현재 논둑 위의 수풀에 가려져 있어 쉽게 찾을 수 없다. 선돌의 뒷면과 옆면에 이끼 등 지의류에 의한 오염이 심하고 주변이 정비되어 있지 않은 점으로 볼 때, 마을에서 따로 관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쌍정리 선돌은 넓은 논 경작지 가운데에 자리한 수직리 선돌과 입지가 비슷하다. 입지로 보았을 때 마을의 풍요를 기원하는 대상으로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선돌에 사람의 얼굴을 언제 새겼는지는 알 수 없으나, 선사 시대 선돌 중에서는 매우 드문 사례에 속한다. 선돌의 얼굴상과 관련한 여러 가지 재미있는 전설들이 쌍정리, 천등리 등 주변 마을에 전해져 오고 있어 역사적 민속적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