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600430 |
---|---|
한자 | 潘南朴氏 朴元度墓 |
영어공식명칭 | Tomb of Bannam Park Clan Park Won-do| |
이칭/별칭 | 박원도선생 묘역,반남박씨 묘역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화성시 오산동 산88-63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성남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1626년 - 박원도 출생 |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1690년 - 박원도 사망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7년 2월 28일![]()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9년 10월 23일 - 반남박씨 박원도묘 화성시 향토문화유산에서 화성시 기념물로 재분류 |
현 소재지 | 반남 박씨 박원도묘 -
경기도 화성시 오산동 산88-63
![]() |
성격 | 무덤 |
관련 인물 | 박원도 |
문화재 지정 번호 | 화성시 기념물 |
경기도 화성시 오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박원도의 묘.
반남박씨 박원도묘는 조선 후기 문신 박원도(朴元度)[1626~1690]의 무덤이다. 박원도는 반남 박씨 죽창공파에 속하며, 아버지는 박욱(朴有+彧), 어머니는 이광림(李光林)의 딸 전의 이씨이다. 1648년(인조 26)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병조 정랑, 사헌부 장령, 병조 참판, 형조 참판, 부평현감 등을 지냈다. 당색은 서인이었으며,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자 벼슬에서 내려와 독서로 생애를 마쳤다.
반남박씨 박원도묘는 경기도 화성시 오산동 산88-63에 있다.
반남박씨 박원도묘의 봉분은 원형이며, 뒤편에는 반원형의 사성이 둘려 있다. 봉분 앞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놓여 있다. 봉분 좌우로 옥개석을 갖춘 묘비와 묘갈이 세워져 있다. 끝에는 문인석 1쌍이 배치되어 있다.
반남박씨 박원도묘의 묘표는 원수방부형(圓首方趺形)[사각형의 받침돌에 상부가 둥근 비신을 세운 형태]이며, 최명길(崔鳴吉)이 글을 지었다. '통정대부행승정원우승지 겸 경정참찬관춘추관수찬관박공휘원도지묘 숙부인여흥민씨부좌(通政大夫行承政院右承旨 兼 經筳參贊官春秋館修撰官朴公諱元度之墓 淑夫人驪興閔氏祔左)'라고 쓰여 있다.
묘비는 팔작지붕의 옥개석과 비신·기대로 구성되어 있다. 전액(篆額)은 '우승지박공묘비명(右承旨朴公墓碑銘)'이라고 쓰여 있으며, 박세당(朴世堂)이 글을 지었다. 마지막에 '숭정후재갑자십월 립(崇禎後再甲子十月 立)'이라 적혀있어, 1744년(영조 20)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묘표와 묘비가 있는데도 상석에 묘비명이 쓰여 있는데, 좌측 편에 '승지박공원도지묘상석(承旨朴公元度之墓床石)', 우측 편에 '숙부인여흥민씨부좌(淑夫人驪興閔氏祔左)'라고 음각하였다. 전면에서 좌우 측면까지 연결하여 쓴 점이 특이하다.
반남박씨 박원도묘는 2007년 2월 28일 화성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2019년 10월 23일 화성시 기념물로 재분류되었다.
반남박씨 박원도묘는 묘표, 묘비, 문인석 등이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조선 시대 석물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