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600118 |
---|---|
한자 | 雙鶴里 |
영어공식명칭 | Ssanghak-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쌍학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정아 |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쌍학리(雙鶴里)는 비봉면의 동부에 위치한다. 북쪽으로 구포리와 매송면 숙곡리, 동쪽으로 봉담읍 내리, 남쪽으로 청요리와 봉담읍 상기리, 서쪽으로 자안리·양노리와 접하고 있다. 쌍학리의 행정리는 4개이다.
쌍학리는 『지명유래집』에 따르면 마을을 지나가던 왕이 산의 형태가 두 마리의 학의 모습과 같다고 하여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또한 백학이 무리 지어 두 곳에 서식하였는데 한 곳은 백학, 또 다른 한 곳은 백학의 동쪽이라고 하여 동학리로 불렀으며, 후에 두 곳을 합쳐 쌍학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쌍학리는 조선 시대 남양부 며지곶면(㫆知串面)에 속하였다. 『호구총수』에 며지곶면 소속으로 기록된 백학동(白鶴洞)이 쌍학리 일대에 해당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며지곶면 백학동과 동학동(東鶴洞)이 병합되어 수원군 비봉면 쌍학리로 개편되었다. 1949년 화성군이 신설되면서 화성군 비봉면 쌍학리가 되었다. 2001년 화성군이 화성시로 승격되면서 화성시 비봉면 쌍학리가 되었다.
쌍학리는 남부의 산지와 북부의 평야지대로 구분된다. 남쪽에 태행산[294.8m], 삼봉산[270.5m]이 있으며, 삼봉산에는 아까시나무 군락이 분포한다. 태행산과 삼봉산 북쪽 사면에서 구포천이 발원하여 쌍학리 일대를 흐르며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저평지를 형성한다. 구포천 주변의 저평지는 주로 농경지로 이용된다.
쌍학리의 면적은 약 5.83㎢이다. 주요 도로로 비봉매송간도시고속도로가 쌍학리를 중부를 동서로 관통하며 화성비봉 요금소가 있다. 또 쌍학리 북서쪽으로 국도 제39호와 지방도 313호가 지나간다. 쌍학2리에 서울대교구의 천주교 비봉 103위 성인 추모공원이 있다.
2021년 1월 기준 지목별 현황은 전 767,385㎡, 답 685,302㎡, 목장용지 24,799㎡, 임야 3.8㎢, 대 121,427㎡, 공장용지 19,133.5㎡, 주유소용지 2,362㎡, 창고용지 2,893㎡, 도로 201,443.9㎡, 제방 241㎡, 하천 113,285㎡, 구거 23,556㎡, 유지 1,950㎡, 양어장 5,429㎡, 종교용지 148㎡, 묘지 53,319㎡, 잡종지 3,830㎡이다.